본문 바로가기

둘밥다반사/서툴러도 괜찮아

2013년 사자성어 제구포신(除舊布新) 그리고 2012년 사자성어 거세개탁(擧世皆濁) [00~12년]

날이 갈 수 록 재미지는 세상입니다. 올해도 어김없이 교수신문은 올해의 사자성어와 새해를 맞는 사자 성어를 발표하였습니다.

교수신문의 사자성어는 한해를 돌아 보고 또 맞이 함에 있어 참 적절한 말을 꼬집는데요.

올해는 어떤 말이 또 내년은 또 어떤 마음이 담겨진 사자성어가 선정이 되었을까요?

내년에도 둘밥은 갑니다~! 달려 갑니다~! 뚜룹빠 뚜빠 둘밥 좋았어~!





▲ 2013년 희망의 사자성어를 발표한 '교수신문' 기사화면 캡쳐. 휘호 : 近園 김양동 미술학 박사, (전)계명대 미대 학장, (현)계명대 석좌교수





<교수신문>은  

‘2012년 올해의 사자성어’로 거세개탁(擧世皆濁)을

2013년 사자성어로 "제구포신"을 선정하였습니다. 

 지난 10일부터 19까지  교수협의회 회장단, 대학신문 주간교수, 교무처장, 기획처장, 대학원장 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설문자 중 30%의 추천으로 선정되었다고 하는데요. 

 


 이종묵 서울대 국문학 교수는 

“사람들은 묵은해가 가고 새해가 오는 것을 즐거운 마음으로만 보지는 않는다. 옛사람은 이럴 때일수록 내 마음에 선과 악이 드러나기 전 그 조짐을 살피고, 세상이 맑아질 지 혼탁해질지 그 흐름을 미리 살폈다”

 “낡은 것은 버리고 새 것을 받아들이되, 낡은 것의 가치도 다시 생각하고 새 것의 폐단도 미리 봐야 한다. 이것이 묵은 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는 마음이며, 진정한 제구포신의 정신” 


박명진 중앙대 국문학 교수 

"지난 대선이 한국사회에 남긴 생채기를 보듬어야 한다는 이유로 제구포신을 선택했다."

“대선을 통해 고질적인 지역 갈등, 이데올로기 갈등, 계층 간 갈등이 심화됐다”

 “새로운 정부는 구악을 퇴치하고 새로운 가치관과 시민의식을 고양해야 한다”




擧世皆濁


이에 앞서 교수신문이 발표한 


올해 (2012)의 사자 성어


거세개탁(擧世皆濁)  


 즉 지위의 높고 낮음을 막론하고 모든 사람이 다 바르지 않아 홀로 깨어 있기 어렵다

'온 세상이 모두 탁하다'



擧 들 거


世 세상 세


皆 다 개


濁 흐릴 탁










2012 올해의 한자 성어 : 엄이도종 掩耳盜鐘
=>‘자기가 한 일이 잘못됐다는 생각은 하지 않고, 다른 사람의 비난을 두려워해 귀를 막지만 소용이 없다’



저를 두고 한 말 같아 많은 생각이 교차되는 새벽입니다.
올 해를 벗삼아 내년도 힘차게 걸어야겠죠! 







 




김풍기 강원대 교수가 올해의 사자성어로 선정된 ‘엄이도종’을 『사고전서(四庫全書)』에서 집자했다.(그림 위) 『사고전서(四庫全書)』는 청나라 건륭제가 중국과 주변 국가의 중요한 책을 모아서 편찬한 방대한 전집이다. 이 책은 1772년(건륭37) 1월 처음 책 수집을 명한 이래 1782년(건륭47)까지 10년의 세월을 거쳐 완성됐다. 대진(戴震), 왕념손(王念孫), 옹방강(翁方綱), 주균(朱筠) 등 당대 최고의 학자 360여 명이 편찬에 참여했으며, 총1만223종 17만2천626권이나 되는 방대한 양을 자랑한다.


 그럼 지난 연도별 올해의 사자성어를 살펴 볼까요?





2010 올해의 사자성어 '장두노미'.                                   휘호  素石 이종찬 동국대 명예교수·국문학.



.

.



                                                                         사진 출처 : 교수신문

 

 

교수신문은 01년 부터 매해 올 해의 사자성어를 발표 하고 있는데요

 

올해의 사자성어는 한문학 등 관련 교수 10분에게 사자성어 20개를 추천 받아

 

  교수신문의 논설-편집-기획위원 15명이

 

5개의 성어를 추려내는 설문 조사 방식으로 선정한다고 합니다.

 

2010년의  올해의사자성어로는 藏頭露尾가 선정되었습니다.

 

 

 

장두노미(藏頭露尾)

 

쫓기던 타조가 머리는 숨겼지만 꼬리는 숨기지 못한 모습을 뜻하는 말로 진실을 숨겨두려 하지만 실마리는 만천하에 드러나 있다

 

 




09年, 마부작침  磨斧作針 

磨 : 갈 마
斧 : 도끼 부
作 : 만들 작
針 : 바늘 침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는 말로,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꾸준히 노력하면 이룰 수 있다는 뜻.

 

 

 

 

08年,  호질기의  護疾忌醫

 

護:보호할 호
疾:병 질
忌:꺼릴 기
醫:의원 의
 

 

'병을 숨겨 의원에게 보이기를 꺼린다'라는 뜻으로, 잘못이 있는데도 다른 사람의 충고를 듣지 않는 것을 비유하는 고사성어

 

 

 

 

 

07年, 자기기인 自欺欺人

 

自:스스로 자
欺:속일 기
欺:속일 기
人:사람 인

 

'자기를 속이고 남을 속인다'라는 뜻으로, 자신도 믿지 않는 말이나 행동으로 남까지 속이는 행위를 비유하는 사자성어

 

 

 

 

06年, 密雲不雨 밀운불우

 

密 : 빽빽할 밀
雲 : 구름 운
不 : 아닐 불
雨 : 비 우


       짙은 구름이 가득 끼었으나 비가 내리지 않는다.         

 

 

 

 


05年, 上火下澤 상화하택

上 : 윗 상

火 : 불 화

下 : 아래 하

澤 : 못 택,풀 석,전국술역,별이름 탁

 

 

              '위에는 불,아래는 못'서로 이반하고 분열하는 현상      

 

 

 

 

 


04年, 當同伐異  당동벌이 

 

當 : 마땅 당

同 : 한가지 동

伐 : 칠 벌

異 : 다를 이

 

              옳고 그름을 가리지 않고 한패가 되어 다른쪽을 배척함.

 

 

 

 

 


03年, 右往左往 우왕좌왕  

 

右 : 오른쪽 우도울 우

往 : 갈 왕

左 : 왼 좌

往 : 갈 왕 

 

            중심을 잡지 못하고 사방으로 왔다 갔다  함     

 

 

 

 

 

     02年, 離合集散  이합집산

 

離 : 떠날 이(리), 붙을 여(려), 교룡 치

 合 : 합할 합 쪽문 합, 홉 홉

集 : 모을 집

散 : 흩을 산

 

             헤어지고 합치고,다시모이고 또다시 흩어짐.          

 

 

 

 

 


01年, 五理霧中  오리무중   

 

五 : 다섯 오

理 : 다스릴 리(이)

霧 : 안개 무

中  : 가운데 중


             어디에 있는지,도데체 종적을 알 수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