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둘밥다반사/서툴러도 괜찮아

소는 풀을 먹고 자라야하고, 과일은 익어야 맛있고, 농약은 약이 아니라 독이다.




학교에서 배운 한 마디가 무엇이냐 묻는다면, '대중'이라는 두 글자 이다. 모두가 나는 대중 속에서 현혹되지 않는다 생각하지만 공동사회 속에서 우리는 위치만 다를 뿐 대중이 될 수 밖에 없다. 미국이 다문화를 융합시키기 위해 사용한 장치는 미국 시민을 향한 광고였고, 이는 상품으로서 또 정치적 이데올로기로서 공통된 이미지를 구현하게 만드는 장치였다. 대중은 키워드를 공통된 이미지로 이해하기 시작했고, 이것이 체득된 지식인 마냥 착각 한다. 

둘러앉은 밥상을 행하면서 배우는 것 중 가장 마음에 꽂힌 단어가 무엇이냐 묻는 다면, 이 역시 대중 이라는 두 글자이다. 유통의 편리와 산업의 이익을 위해 만든 마블링제도는 사람들의 식감에 대한 기준 자체를 바꿨다. 
단맛 선이 과연 인류가 선천적으로 사랑할 수 밖에 없는 마약일까? 상품의 홍수와 접근성 또 매체의 폭력으로 부터 자유롭지 못 해 사랑할 수밖에 없지는 않았는지 고민해 보아야한다. 유통의 편리함을 위해 만든 청매실 광고가, 상식과 지식으로 얽혀, 매실이 실은 살구 처럼 노랗게 익는 다는 것을 잊었다. 오히려 매실=청매 라는 등가 구조에 반하여, 노랗게 익은 매실을 황매 라고 부르는 기형적인 단어가 만들어졌다. 무화과가 얼마나 달콤한 과일인지는 책으로만 알고있다. 충분히 익은 무화과를 먹어 본 적이 없기 때문이다. 

시각적 청결함이 만들어진 가치 기준을 내 두뇌에 복제 한 것은 아닌지 자문해 보아야한다. 그렇게 묻고 또 묻는 일들이 쌓여야한다. 당연히 그런 것은 없다. 

나는 스스로 대중이 아니라 착각하고 살았음을 생각한다. 주체적인 삶이란 정답같은 지식 한 줄을 외는 것이 아니라, 바른 질문을 던지는 것에서 시작 한다. 

소는 풀을 먹고 자라야하고, 과일은 익어야 맛있고, 농약은 약이 아니라 독이다. 

이미지 Gargantua. 1831, 오노레 도미에.

둘러앉은밥상 http://www.doolbo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