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와 국내산 소고기가 같은 것이라 생각하시는 분들 많으시죠?
상식적인 말 같지만 안타깝게도 엄연히 다른 개념이랍니다. 살아 있는 소를 국내로 수입해 6개월 이상 사육하면 수입산 딱지를 떼고 국내산 표기를 할 수 있다고 하네요.
게다가 외국 소라도 우리나라에서 도축하면 국내산으로 표기할 수 있어, 일반인들은 국내산 품종, 즉 한우라고 믿게 되는 거지요.
걱정스러운 점은 한미 FTA 협정에 따라 다른 나라의 소도 미국에서 도축하면 ‘미국산’이 되어 우리나라에 들어오게 된다는 겁니다. 즉 광우병에 걸린 멕시코산 쇠고기, 캐나다산 쇠고기 등 그야말로 출처를 모르는 식품이 얼마든지 들어올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마치 중국 공장에서 99%를 만들고 이태리로 들여와 'Made in Italy' 를 붙이면 법적으로 이태리제 명풍이 될 수 있는 것과 같은 이치 입니다.
비싼돈 주고 한우를 드시려는 분들 이제는 꼭 '한우'인지 '국내산'인지 확인 하셔야 겠습니다.
한우를 드리려는 분께 한가지 드리는 팁!
한우를 먹고 싶다면 ‘한우 판매점 인증제’를 받은 식당을 찾으세요. 전국 1백 7개의 이 식당들은 전국한우협회에서 위생이나 경영 관리 등을 수시로 체크받다고 합니다.
[출처] 식약청, 2011식품 트랜드 5가지- safety, simple, segmentation, super-premium, slow-food
'밥상머리 > 잘 먹겠습니다ㆍ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 공장이라는 말 들어보셨나요? (0) | 2012.03.13 |
---|---|
벌레로 색을 내는 딸기우유- 식품첨가물 (0) | 2012.03.13 |
[10~12월] 브로콜리_피부미용, 노화방지 다이어트까지... (2) | 2012.03.12 |
과일과 채소가 몸에 좋을 뿐 아니라, 매력적으로 보이게 만들어준다? (0) | 2012.03.09 |
컵케익 자판기 등장 - 참 별의별 자판기가 다 생기지요 ^^: (2) | 2012.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