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상머리/잘 먹겠습니다ㆍ정보
도시농업 사례- The Science Barge 도시유람선, 대안농업
알 수 없는 사용자
2012. 3. 5. 17:59
안녕하세요? 우리의 먹거리 문제를 고민하는 둘러앉은밥상입니다.
오늘은 농업의 전적인 대안까지는 아니더라도 최근 각광받는 도시농업에 대한 사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도시농업(都市農業, 영어: urban agriculture)은 도시의 다양한 공간을 활용한 농사행위로 농업이 갖는 생물다양성 보전, 기후조절, 대기정화, 토양보전, 공동체문화, 정서향얌, 여가지원, 교육,복지 등의 다원적 가치를 도시에서 구현하며 지속가능한 도시, 지속가능한 농업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라고 위키백과에 나와 있습니다. ^^
오늘 소개해드릴 사례를 시행하는 곳은 '뉴욕 선 웍스(New York Sun Works)'입니다. 그들은 미국 뉴욕시에서 환경에 관련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비영리단체입니다.
이 단체에서는 도시농업 교육과 홍보를 위한 교육장을 뉴욕 맨하탄근처 허드슨강위에 배로 만들었습니다. The Science Barge 라고 불리우는 프로그램 인데요 우리나라 말로는 과학유람선(사이언스 바지선) 정도가 되겠네요 ^^
생김새는 요렇게 초라하지만 내용은 알찹니다. ^^
내부의 구조는 이렇습니다.
식물을 옆으로 자라지 않고 세로로 자라게끔 유도해 공간활용을 높입니다.
교육장에는 오이, 상추, 토마토를 심었습니다. 물을 이용한 수경재배를 하고 있지요.
대안농업으로써의 도시농업을 소개하는 이 프로젝트는 에너지, 물, 식량(생산)의 세가지 화두를 갖고 있습니다.
대안농업으로써의 도시농업을 소개하는 이 프로젝트는 에너지, 물, 식량(생산)의 세가지 화두를 갖고 있습니다.
Energy 에너지
이 과학유람선에서는 농산물 생산에 필요한 에너지도 친환경적으로 얻는데요. 태양열, 풍력 그리고 곡식이나 폐식용류를 이용하여 만든 BIOFUEL을 사용합니다. 특히나 뉴욕의 레스토랑들은 연간 3만 7천 키로리터의 폐식용류를 쏟아낸다고 합니다.
모든 농업이 따를 수 있는 모델은 아니지만 일단 이 모델 안에서는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는점 덕분에 이산화 탄소 배출량을 제로로 만들수 있답니다.
Water 물
인간이 사용하는 물의 3분의 2가 농업에 쓰인다는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 과학유람선에서는 물의 사용량을 4분의 1로 줄였습니다. 이 비결이 매우 재미있습니다.
우선 수경재배를 위해 물을 주고, 영양분이 다 빨린 물은 버려지는 것이 아니라 하부의 수조에 모이게 됩니다.
그러면 이동된 물은 수조에서 신기한 일을 통해 다시 영양분이 많은 물로 변신하여 재투입이 됩니다.
그림에서 처럼 물이 아래의 수조에 모이게 됩니다.
이 수조에는 물고기가 살고 있어서 그 배설물로 다시 물을 영양가 있게 만듭니다.
그렇다면 물고기를 키우기 위한 또다른 사료가 필요한것 아니냐? 는 의문이 드실겁니다.
과학유람선에서는 아주 재미있고 쉬운 방법으로 이 문제를 해결 하고 있습니다.
먼저 상품가치가 떨어지는 생산물이나 버려지는 부분들을 잘 모아서 아래의 통에 집어 넣습니다.
통안에는 물고기들이 좋아하는 지렁이 등의 벌레들이 자라고 있죠 ^^
결국 이것이 순환 구조를 만들게 됩니다.
못파는 채소 -> 벌레 -> 물고기 -> 영양가 많은 물
이렇게 함으로써 과학유람선에서는 농약도, 비료도 사용하지 않고 지속가능한 생산을 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 화두는 식량(생산)의 이야기 인데요. 이 도시농업은 수경재배를 통해 토양의 오염을 막고 토양의 사용또한 줄여줍니다. 게다가 도시와 밀접한 지역, 혹은 도시 안에서 농업이 이루어 지기 때문에 수송으로 인해 발생하는 공해와 에너지 사용도 막을 수 있지요. '제로마일푸드'라고 불리는 부분입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과학유람선에서는 농약도, 비료도 사용하지 않고 지속가능한 생산을 할 수 있습니다.
Food 식량(생산)
마지막 화두는 식량(생산)의 이야기 인데요. 이 도시농업은 수경재배를 통해 토양의 오염을 막고 토양의 사용또한 줄여줍니다. 게다가 도시와 밀접한 지역, 혹은 도시 안에서 농업이 이루어 지기 때문에 수송으로 인해 발생하는 공해와 에너지 사용도 막을 수 있지요. '제로마일푸드'라고 불리는 부분입니다.
보시는 표는 토마토 하나를 생산했을때 들어가는 자원이 양을 비교한 것입니다.
도시농업을 통해 이산화탄소 배출, 물 사용, 토지, 농약, 화학비료, 기름 사용 등을 낮추거나 없앤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도시농업을 통해 이산화탄소 배출, 물 사용, 토지, 농약, 화학비료, 기름 사용 등을 낮추거나 없앤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뉴욕시에는 5000헥타아르의 해볕이 드는 평평한 옥상있는데 그 옥상들을 농업에 이용하면 뉴욕시 전체의 인구가 먹을 수 있는 양의 채소를 생산 할 수 있다는 놀라운 의견을 내기도 합니다.
농업의 방향이 바뀌어야 한다는 大의제에 반대 하시는 분은 없으시겠지요? 그 방법에 여러가지가 있겠고 지금 소개 해드린 케이스가 꼭 하나만 있는 정답은 아닐 지라도 아름다운 시도와 연구가 이루어 지고 있는것 같아 흐믓합니다. ^^
겉은 초라하지만 의미있는 내용으로 가득찬 체험 학습장 한번 방문해 보고 싶지 않으신가요?
너무 멀어 갈 수 없으신 분을 위해 동영상과 홈페이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홈페이지: http://nysunworks.org